금색으로 색깔이 예쁜 금계를 닮았다해서 금계국으로 이름붙여졌습니다. 이름에서 볼수있는 것처럼 국화과의 꽃
언뜻 코스모스를 닮은 금계국은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데 어릴때는 못보던 꽃이라 찾아보니 올림픽이 있던 1988년전후 심어지기 시작했다고합니다. 생명력이 강해 한뿌리에서 여러개의 줄기가 나올만큼 생명력이 매우 강하다고 합니다. 일본에서는 외래종이 토종 식물 생태계를 교란한다고 제거하는 작업을 한다고 하는데 우리나라는 여기저기서 볼수있는 꽃입니다. 비용이 적게들고 생명력이 강해 지자체에서 선호하기도 하는데 앞으로는 실태조사와 대처가 필요해보이는 꽃이기도 합니다. 꽃이 무슨죄가 있게냐만은 편리함을 내세워 무분별한 확산은 자제하는게 맞을것 같습니다.
큰금계국에는 항암 성분이 들어있다하니 청정한 곳에 피었다면 꽃차로 활용하는것도 좋을듯...
이청용이 맹활약하면서 주목을 받던 볼튼시절에 챔피언쉽으로 강등되었을때만해도 한시즌 길어야 두시즌 정도 예상했었지만 그냥 팬심이었을뿐 볼튼의 운명은 계속 추락했고, 이청용도 톰밀러의 살인태클이후 이전만큼 그리고 기대만큼 성장되어가는게 많이 지체되었습니다. 그래도 볼튼의 주축이자 상징적인 선수로 꾸준한 활약을 펼쳤기에 지난시즌 말에 이적하면서 프리미어리그 재입성 이번시즌에 많은 기대를 모았지만 출전 기회 자체가 적었고 잔부상에 시달리는중에 자하 사코 펀천등 다른 선수들이 맹활약중인데다 시즌초 토트넘 이적이 유력했던 볼라시에가 잔류하면서 맹활약.. 부상이나 특별한 컨디션 저하가 아니라면 주전이나 최소한 로테이션 멤버라도 나와야하지만 현재 과당 경쟁에서 밀리는중..
하지만 이제는 기회가 오는 시점이 임박한 가운데 이번 경기가 아니더라도 그의 활약을 기대해봅니다..
시즌중에 기회는 오기마련이고 그때 잘해야 됨..
선덜랜드전은 드와이트게일과 바카리 사코가 부상으로 출전하지 못하는 상황이지만 위컴과 샤막은 복귀
이청용은 1988년생으로 어느덧 20대 후반으로 가는중.. 이제는 축구선수로서 원숙미를 보여주면서 커리어의 정점을 향해가는 시점이어야하는데 이십대 초반부터 대표팀 주전이었기에 느낌으로 삼십대에 접어든것처럼.. 어찌되었건 이청용이 프리미어리그 진출했을때처럼 화려하게 부활하길 기원합니다...
모란은 붉은색이 가장 상품이기에 목단으로 불리기도 한는데 목단피는 부인과 질환에 효과가 있다
사진은 아무래도 모란과 같은 종류인 작약.. 모란이 좀더 풍성..
모란이 피기까지는 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다리고 있을 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 테요 5월 어느 날, 그 하루 무덥던 날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뻗쳐 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 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내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역마살가족 아내와 아들과 작당해서 서울 성곽 답사를 마치고난후 이전에 몇번 가본 수원화성과 비교해보게 되었다.
수원화성은 개인적으로 어릴때 매일 뛰어놀던곳이고 헤아릴수없이 올라가본 내게는 너무나 익숙한 곳으로 물론 지금보다 정비가 덜되었던 시절이긴하지만 상대적으로 축성 시기가 오래되지 않았고 한양도성이나 남한산성같이 그때그때의 필요성보다 처음부터 세밀하게 기획이되었고 건축당시의 기록물이 매우 충실하기에 복원도 굉장히 수월했겠지만 육백년의 역사와 더불어 실제로 사용했던 조선시대의 서울성곽은 보존과 복원이 꽤잘된 남한산성과 비교해도 소실된 구간이나 생활구간으로 자리잡은곳들이 많았는데 일반인이 출입하기 힘들던 군사지역이고 121사태가 일어난이후에는 더더욱 접근할 수 없었던 북악산과 인왕산 구간도 개방이 되었기에 최근들어 많은 발걸음이 모이는중 답사내내 신기했던것은 서울에 거주도 오래하고 사회생활도 많이했었는데 현기증날정도로 높은 빌딩과 시대가 반영된 잡다한 여러층위의 건축물들 사이로 비밀처럼 감추어진 이런 곳이 있을줄은 전혀 몰랐다는 사실... 물론 복원이 많이 진행된것이기도하지만 실체가 많이 남아있지 않았다면 복원도 매우 어렵고 시간도 많이 걸렸을 것이기에 중간중간 아직도 끊어진 구간과 서대문과 소의문같이 아직까지 복원되지 않은 주요 유적들도 있지만 매우 의미가 있었던 답사.. 중간중간 가보지 못한 유적지들은 다음을 기약해보게되기도..
처음으로 답사한 구간은 2014년 5월5일 어린이날로 난이도가 그나마 높지않다고 알려진 혜화문에서 동대문까지의 답사
출발지점인 혜화문
구간 : 혜화문~흥인지문
거리 : 2.1km
소요시간 : 약 1시간
혜화문에서 낙산을 지나 흥인지문까지 이어지는 구간이다. 낙산(124m)은 서울의 좌청룡에 해당하는 산으로 내사산 중 가장 낮다. 생긴 모양이 낙타 등처럼 생겨 낙타산, 타락산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낙산 구간은 경사가 완만하여 산책하듯 걷기에 적당하다. 특히 가톨릭대학 뒤편 길을 걷다보면 축조 시기별로 성돌의 모양이 어떻게 다른지를 볼 수 있다.
⋅ RAW 12비트※1(압축) ⋅ JPEG-Baseline 준거, 압축율(약): FINE(1/4), NORMAL(1/8), BASIC(1/16) ⋅ RAW와 JPEG의 동시 기록 가능
Picture Control System
표준, 자연스럽게, 선명하게, 모노크롬, 인물, 풍경, 모두 조정 가능, 사용자 설정 등록 가능
기록 매체※2
SD 메모리 카드, SDHC 메모리 카드, SDXC 메모리 카드
대응 규격
DCF 2.0(Design rule for Camera File system), DPOF(Digital Print Order Format), Exif 2.3(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for digitalstill cameras), PictBridge
전자 뷰 파인더
전자 뷰 파인더
컬러 액정 뷰 파인더, 0.47형 TFT 액정, 약 144만 화소, 시도 조절 기능 포함, 밝기 조정 가능
시야율
상하좌우 모두 약 100%(실제 화면 대비)
아이 포인트
접안 렌즈면 중앙에서 18mm(-1.0m-1일 때)
시도 조절 범위
-3~+2m-1
아이 센서
파인더 사용 검출 시, 전자 뷰 파인더 표시로 자동 변경
촬영모드
촬영모드
: 오토 모드,: 프로그램 오토(프로그램 시프트 가능),: 셔터 우선 오토, : 조리개 우선 오토,: 매뉴얼,: 순간포착 캡처 모드(느린 화면,스마트 포토 셀렉터), : 고급 동영상 모드(HD 동영상, 슬로우 모션),: 모션 스냅 샷 모드
셔터
셔터 방식
전자 제어 상하 주행식 포컬 플레인 셔터, 일렉트로닉 셔터
셔터 스피드
⋅ 기계식 셔터 사용 시: 1/4000~30초(1/3단계), Bulb, Time(별매 리모컨 ML-L3 사용) ⋅ 전자식 셔터 사용 시: 1/16000~30초(1/3단계), Bulb, Time(별매 리모컨 ML-L3 사용) ※ 밸브 촬영 시 또는 타임 셔터 촬영 시 모두 셔터가 열리고 나서 약 2분이 지나면 자동으로 닫힙니다.
플래시 동조 셔터스피드
⋅ 기계식 사용 시: X=1/250초 이하의 저속 셔터 스피드에서 동조 ⋅ 일렉트로닉 셔터 사용 시: X=1/60초 이하의 저속 셔터 스피드에서 동조
릴리즈 기능
릴리즈 모드
⋅ 단사, 연사 ⋅ 셀프타이머, 리모컨 촬영
연속 촬영 속도
약 5ps, 약 15fps, 약 30fps, 약 60fps
셀프 타이머
작동 시간: 2초, 10초
리모콘 모드
2초 리모컨, 순간 리모컨
노출 제어
측광 방식
촬상 소자에 의한 TTL 측광 방식
측광 모드
⋅ 멀티 패턴 측광 중앙부 중점 측광: Φ4.5mm 상당을 측광 ⋅ 스팟 측광: 약 φ2mm 상당을 측광, AF 영역으로 연동하여 측광 위치 가동
노출 모드
P:멀티 프로그램(프로그램 시프트 가능), S:셔터 우선, A:조리개 우선, M: 수동, 자동 장면 설정( 장면 자동 인식)
노출 보정
⋅ 범위:±3단계, 보정 단계:1/3단계 ⋅ P, S, A 모드 또는, [노출 모드]가 [P 프로그램], [S 셔터 우선] 또는,[A 조리개 우선]일 때 설정 가능
AE Lock
AE/AF Lock 버튼에 의한 휘도값 Lock 방식
ISO 감도 (권장 노광 지수)
범위 : ± 5 단, 보정 단계 : 1 / 3, 1 / 2 단계
오토 브라케팅
⋅ ISO 160~6400(1단계) ⋅ 감도 제한 오토(160~6400, 160~3200, 160~800) ⋅ P, S, A, M 모드 또는, [노출 모드]가 [P 프로그램],[S 셔터 우선], [A 조리개 우선] 또는 [M 매뉴얼]일 때 설정 가능
액티브 D-Lighting
On, Off
오토 포커스
방식
하이브리드 AF(위상차 AF/콘트라스트 AF), AF 보조광 포함
렌즈 Servo
⋅ 오토 포커스(AF): 싱글 AF(AF-S), 연속 AF(AF-C), AF 자동 변경(AF-A), 상시 AF(AF-F) ⋅ 매뉴얼 포커스(MF)
AF 영역 모드
싱글 포인트, 자동 영역, 피사체 추적
AF 영역
⋅ 싱글 포인트: 135Point의 AF 영역(중앙부 73Point는 위상차 AF) ⋅ 자동 영역: 41Point의 AF 영역
포커스 Lock
AE/AF Lock 버튼, 또는 싱글 AF(AF-S)시에 셔터 버튼 반누름
얼굴 인식
On, Off
플래시
내장 플래시
플래시 팝업 레버 조작에 의한 수동 팝업 방식 가이드 넘버: 약 5(ISO 100m) / 약 6.3(ISO 160m), 20℃의 경우
조광 방식
촬상 소자에 의한 i-TTL 조광 제어
플래시 모드
강제 발광, 강제 발광+슬로우, 적목 방지 발광, 적목 방지 발광+슬로우, 후막 발광, 후막 발광+슬로우
조광 보정
범위: -3∼+1단계, 보정 단계: 1/3단계
레디 라이트
내장 플래시, 별매 스피드라이트 사용 시 충전 완료로 점등
화이트 밸런스
화이트 밸런스
자동, 전구, 형광등, 맑은 날, 플래시, 흐린 날, 맑은 날 그늘, 수동 프리셋, 수동 프리셋 외에는 모두 미세 조절 가능
동영상 기능
측광 방식
촬상 소자에 의한 TTL 측광 방식
측광 모드
⋅ 멀티 패턴 측광 중앙부 중점 측광: Φ4.5mm 상당을 측광 ⋅ 스팟 측광: 약 Φ2mm 상당을 측광, AF 영역에 연동하여 측광 위치 가동
기록 화소수/기록 레이트
⋅ HD 동영상, 오토 모드, P, S, A, M 모드로 촬영한 동영상#1 1920×1080(60i (59.94fields/s)#3), 1920×1080(30p(29.97fps)) 1280×72(60p(59.94fps)), 1280×720(30p(29.97fps)) ⋅ 슬로우모션 동영상#2 640×240(기록:400fps, 재생:30p(29.97fps)), 320×120(기록:1200fps, 재생:30p(29.97fps)) ⋅ 모션 스냅 샷 모드로 촬영한 동영상#1 1920×1080(기록:60p(59.94fps), 재생:24p(23.976fps)) #1 가로세로 비율은 16:9 #2 가로세로 비율은 8:3 #3 센서 출력은 약 60fps입니다.
파일 형식
MOV
영상 압축 방식
H.264/MPEG-4 AVC
음성 기록 방식
AAC
녹음 장치
내장 스테레오 마이크, 별매의 스테레오 마이크로폰ME-1을 사용 가능 (스테레오 녹음) 마이크 감도 설정 가능
액정 모니터
액정 모니터
7.62㎝(3형) TFT 액정 모니터, 약 92만 화소, 밝기 조정 가능
재생 기능
재생 기능
1프레임 재생, 썸네일 재생(4, 9, 72분할 또는, 달력 모드), 확대 재생, 동영상 재생,슬라이드 쇼, 히스토그램 표시, 촬영 화상의 세로 위치 자동 회전, 레이팅
인터페이스
USB
Hi-Speed USB
HDMI 출력
HDMI 미니 단자(Type C)장비
멀티 액세서리 포트
전용 액세서리 장비
외부 마이크 입력
스트레오 미니 잭(φ3.5mm)
표시 언어
표시 언어
한국어, 아랍어, 중국어(간체 및 번체), 체코어, 덴마크어, 네덜란드어, 영어, 핀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 그리스어, 헝가리어, 인도네시아어, 이탈리아어, 일본어, 노르웨이어, 폴란드어, 포르투칼어, 루마니아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스웨덴어, 태국어, 터키어, 우크라이나어
전원
사용 전지
Li-ion 충전식 배터리 EN-EL21(1개 사용)
AC 어댑터
AC 어댑터 EH-5b(파워 커넥터 EP-5D와 조합하여 사용)(별매)
삼각대 소켓
삼각대 소켓
1/4(ISO 1222)
크기 무게
크기(W×H×D)
약 107.8×81.6×45.9mm(돌출 부분 제외), 바디 부분 두께 33.2mm
무게
약 337g(배터리 및 SD 메모리 카드 포함, 바디 캡 제외), 약 278g(본체만)
동작 환경
온도
0℃~40℃
습도
85%이하(결로현상 없을 것)
※1 복원에는 ViewNX 2, Capture NX 2(별매)가 필요합니다. ※2 Multi Media Card(MMC)에는 대응하고 있지 않습니다.
⋅ 사양 중의 데이터는 특별한 기재가 있을 경우를 제외하고 모두 CIPA(카메라 영상기기 공업회)규격에 의한 온도조건(23℃(±3))에서 완전 충전 배터리 사용 시의 것입니다.
⋅ 사양⋅성능은 예고 없이 변경될 경우가 있으므로 양해 바랍니다.
⋅ 사양⋅성능의 오류 등에 관한 보상에 대해서는 양해 바랍니다.
⋅ Microsoft, Windows 및 Windows Vista는 미국 Microsoft Corporation의 미국 및 그 외 국가의 등록상표 또는 상표입니다.
⋅ Macintosh, Mac, OS, QuickTime은 미국 및 그 외 국가에 등록된 Apple Inc.의 상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