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CC동영상 서비스 웹사이트 체험후의 이야기 3
UCC 동영상 웹사이트 단순비교 (이글은 2007년 4월 13일 작성된 것입니다. 이후에 변동된 사항이 있을 수 있습니다) | |||
| |||
동영상 전문 웹사이트 (화질의 기준은 비트레이트와 확인불가능한 곳은 유관으로 봤습니다. 화질을 결정하는 것은 촬영원본이 제일중요한 요소입니다) | |||
업체명 |
영상기반 |
기본 제공 화질 |
특징 |
아우라 |
FLV |
좋음( 828 K) |
다모임에서 운영 타겟층이 청소년과 20대 비밀번호 찾기 질문을 보고 추측했습니다. 스타시스템에 많이 기댈듯. 느낌평: TV가이드 |
엠군 |
FLV |
제일좋음(1.1mbps) |
화질은 좋게 올릴수 있고, 종종 끊김현상이 있음. 초기화면이 심플함이 느껴지는게 revver.com과 비슷합니다. 상당한 성장가능성이 보입니다. 느낌평: 웹진 |
엠엔캐스트 |
FLV |
좋음(828 K) |
다모임에서 운영 사용자층이 다양하고 화질이나 안정성 모두 양호 느낌평: 아주 대중적인 교양잡지 |
태그스토리 |
FLV |
보통(400 K) |
언론사에서 운영하는 것이라 기사들이 많음 전문성을 더 파고들것으로 예상됨 느낌평: 일간지 |
판도라TV |
FLV |
보통(육안확인) |
사용자층이 제일 많은곳 화질은 보통이나 업로드양을 고려하면 당장 바뀔것 같지 않음. 현재보다 상업성이 더가속화 되면 스포츠 신문 수준의 말초적이고 흥미 위주의 내용이 주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 현재의 메인화면을 보면 그런 느낌이 스치고... 느낌평: 옐로우페이퍼 |
픽스카우 |
FLV |
보통(육안확인) |
강좌나 지식에 치중하는듯이 보임 |
풀빵 |
WMV |
보통(700k 직접변환후 업로드) |
20대 젊은층이 선호할만한 컨텐츠를 추구 WMV기반은 FLV기반보다 현재상태에서는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개인적으로 생각됩니다. 이곳은 특이하고 기발한 영상들이 종종보입니다. 느낌평:만화잡지 |
포털이나 기존의 사업영역에 덧붙인 형태의 동영상 사이트들입니다. 이외에도 특정주제만 다루거나 유료형태 혹은 링크위주의 서비스 및 휴대영상 전용 서비스는 다루지 않았습니다. 풀빵의 경우에는 이곳에서만 볼수 있는 영상 컨텐츠들이 있어 별도로 동영상전문 사이트에 넣었습니다. 음란물 파장이후라 자체모니터링을 상당히 하는 분위기입니다. 제가 샘플로 올려봤던 캠코더 간단 조언이라는 영상은 포털 두군데에 올리자마자 삭제 되었습니다. 아이러니 한것은 다른 영상과 특이점은 웹주소와 회사로고를 넣었다는 것외에 찾기 힘든데다 해당 컨텐츠 영역을 검색해보니 영상이나 설명글에 사업장 웹주소, 회사홍보물등을 심심찮게 찾을수 있다는 점입니다. 한곳은 통보도 없이 삭제돼 문의했더니 답신이 일주일 뒤에 왔는데 삭제된 동영상의 경로를 알려줘야 처리가 가능하다는 앞뒤 안맞는 소리를 하지않나(어떻게 기억해내나. 기록도 없는데.) 다른곳은 삭제통보와 답장은 빨리왔지만 자신의 결정할 문제가 안돼 회의중이라는 말과 함께 일주일째 감감무소식입니다. 이해는 어느정도 가지만 나름대로 정확한 기준없이 미봉책만 내놓는 현실을 볼수 있었습니다. | |||
포털 및 기타 (기존의 서비스와 연계한 것이 많으며 회원층이 두껍지만 자신의 목적에 맞춘 일정한 한계가 있습니다. 이런말을 쓰는이유는 대부분이 관련업계에서 최상위권에 있기 때문에 또다른 기대치가 있다는 뜻입니다. 기대치라고 해봐야 본인들의 가진 규모만큼의 양질의 서비스나 공익적인 관점에서의 접근성을 말하는것입니다.) | |||
네이버 플레이 |
FLV |
좋음(841 K) |
화질은 좋은편이며 주의점은 네이버플레이어 매니저 설치할때 네이버 툴바도 깔립니다. 선택할수 있게 했지만 디폴트로 계속 누르면 설치 됩니다. mpg2 파일은 매니저에서 안불러집니다. |
다음 TV팟 |
FLV |
좋음(800 K) |
화질은 좋은편이지만 실제 플레이어에서는 2픽셀씩 늘려져 있습니다. 영상은 꼼꼼히 봐야 알지만 자막이나 가는선은 깨지기 쉽습니다. |
벅스 MUCC |
FLV |
보통(약 500 K) |
새로생겼네요. 음악이랑 결합한 서비스를 선보였습니다. 아직까지 특별한 변별점은 보이지 않으며 추후 어떻게 운영할지... |
싸이월드 |
FLV |
보통(542 K) |
많은 사용자를 보유 싸이월드내에서만 쓰기 유용하게 만들어짐. |
씨유 |
WMV |
약간 저화질(육안) |
웹사이트 디자인이 개인적으로 보기에 좋습니다. 화질은 떨어지는 편이나 화면사이즈가 작습니다. KT관련된곳은 WMV를 많이 쓰는데 휴대폰과의 연결성 때문인지 모르겠지만 웹에서 좋은 선택은 아닌듯 합니다. |
SBS NETV |
WMV |
보통 (육안) |
자사의 방송물을 편집해서 올리는 것이네요. 아마 청소년층이 몰리지 않을까... UCC 영상물이 대체로 짧다는 점을 고려하면 30초짜리 광고는 너무 심한듯. 원본영상이 워낙 고퀄리티인데다 영상품질에 대한 노하우가 많아서그런지 효율성도 최고유지. |
올팟 |
WMV |
약간 저화질(육안) |
화질부분에 대한 고민을 해야할듯. 용량에 비해 화질이 떨어집니다. 게다가 영상거래를 염두에 둔다면 |
앤유 |
FLV |
좋음(육안) |
자체 앤유 광고용 영상이나 기타 파일정보의 영상 용량을 보면 담을수 있는 화질이 높습니다 |
파란 엠박스 |
AVI |
약간 저화질(육안) |
휴대폰으로 보내기 기능이 있습니다. 비용이 얼마나 나올지 궁금하네요. 용량대비 화질은 괜찮습니다. 아마 DiVX나 MPG4인듯... |
프리첼 Q |
FLV |
보통 |
이용자가 많기는 하지만 Q플레이어는 좀 짜증이 났습니다. 볼때마다 나와서 귀찮아서 설치했더니 PC 켤때마다.. 왜이리 메모리는 많이 잡아먹는지. |
|
아래 댓글처럼 lovecon님의 지적대로 유관 -> 육안으로 오타를 정정했습니다.
'웹이야기 > 웹사이트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에 동영상 올리기 - 곰TV (2) | 2007.04.26 |
---|---|
UCC동영상 서비스 웹사이트 체험후의 이야기 3 (10) | 2007.04.13 |
UCC동영상 서비스 웹사이트 체험후의 이야기 1 (0) | 2007.04.10 |
인터넷에 동영상올리기 - 판도라 TV (0) | 2007.04.09 |
'잘 비교해놓은 글 없을까' 인터넷 뒤적뒤적 거리다가 찾았는데 간결하게 잘 정리해놓으셨네요.
어쨌든 잘 읽었습니다. 어느 정도 감은 잡힌거 같습니다.
저도 동영상을 많이 올리는데요...
정말 정리되어있는글 잘 읽었습니다. 다음 TV팟 보다 다음블로그와 카페에서 지원하는 동영상이 화질아 더 좋다는 말도 있던데... 그것 확인하려고 검색하다 들렸습니다.
FLV파일로 되어있는 엠앤캐스트와 아우라,엠군에서는 FLV파일을 그대로 업로드하면 동영상의 화질이 변하지 않는 것 같더군요.
편법이라 볼수도 있습니다. 일단 저는 프리미어에서 만든 동영상을 버추어덥으로 빠르게 재인코딩하여 SHOW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FLV로 변환시킨 후 업로드 하고 있습니다.이러면 화질이 끝내주지요!
단점이라면... FLV파일을 웹에서 재생할 때 CPU점유율을 지나치게 많이 잡아먹는다는것(큰화면으로 확대재생 할 경우)과 업로드가 오래걸린다는 것이죠.
지금 집에서 사용하는 인터넷이 ADSL회선이라 업로드속도가 70kb/s정도밖에 뜨지 않습니다. 그래서 늘어난 화질과 동시에 커진 용량의 압박이 너무나 심하네요.
하지만 보는 사람들의 눈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서라면...
화질을 개선할려면 나름대로 많은 시간적 투자가 필요합니다.
특히 장시간의 영상물일 경우는 많은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가장 적절한것은 원본의 상태를 빨리 파악해서 시간투자한 만큼 성과가 있는지 여부가 될것같습니다.
저화질의 원본은 아무리 시간을 들여도 사람 유관으로는 뚜렷한 개선효과를 느끼지 못합니다.
프리미어 프로버전을 쓰시면 편집된 타임라인 그대로 FLV로 바로 만들수 있습니다.
다음블로그와 카페는 확인해 본적이 없어 모르겠네요.
일반적으로 공중파에 익숙해서인지 보는 눈들이 워낙 높습니다...
근데 유관은 무언가요?
육안을 말씀하신건지 아님 다른의미로 말씀하신건지 ..
죄송한데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에구 lovecon님 예리하십니다.
아무 생각없이 이 단어를 계속 사용했는데
지금보니 육안이 맞습니다.
오타를 지금까지(한자로 볼관자가 있어 헷갈렸나봅니다)
방치했네요..
죄송합니다 그리고 고맙습니다.
해당내용은 다시 수정하겠습니다.
보충..
네이버에서 유관 확인이라고 검색어를 쳐보니 제가작성한 것을 비롯해서 많이있네요. 아마 발음되는데로 사용을해서 그런것 같습니다. 표준어는 lovecon님이 말씀하신것이 맞습니다. 예전에 야학이나 독학으로 한글을 깨우친 할머니들이 소리나는데로 적었던 글들을 본적이 있습니다. 조선시대나 구한말의 한글들도 그런부분이 있습니다. 아! 제가 말한것이 맞다는 의미가 아니라 언어라는 것이 이런 사회성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표준어 표기도 많은 시간차를 두고 계속 변하기도 하는 부분이 생각나 말씀드렸습니다. 예술적인 글쓰기를 하는 분들은 조어들을 만들어 쓰기도 합니다. 언어의 제일 중요한 부분은 소통이 제일 중요합니다. 이 기반위에 정확함을 추구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으로 생각됩니다. 님의 지적에 여러가지 생각이나서 끄적였습니다.
이렇게 비교를 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도움이 되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작성한 보람이 있습니다.
방문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방문해 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