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채널 (22)
햇살과산책
7월에 김동현 선수가 출전하는 UFC148이 예정된 가운데6월23일 오전 9시50분(한국시간) UFC on FX 경기 - 케이블TV 슈퍼액션 생중계슈퍼액션 채널번호 안내 -http://superaction.cjmovies.co.kr/superaction/Customer/SOChannelUFC 공식 웹사이트 - http://www.ufc.com/경기대진메인 경기Maynard vs GuidaStout vs FisherEbersole vs WaldburgerPearson vs Swanson본선 경기Hioki vs LamasNijem vs KeithStory vs JardineSiler vs GambinoCatone vs CamozziBrown vs RamosMiller vs FunchStone vs Pagu..
인터넷과 모바일로 무료 영화 및 동영상보기 TVING은 CJ헬로비전에서 운영하는 케이블방송 사업자로 인터넷 진출.. 수익성은 모르겠지만 콘텐츠도 다양한편이고 컨셉도 괜찮고 서비스는 안정적인편현재 서비스는 유료와 무료가 있는데 유료의 경우 실시간 방송까지 커버하고 각종 스포츠 중계까지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어 스마트폰 및 스마트TV 테블릿PC등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무료영화관 바로가기 - http://www.tving.com/sm/ms/SMMS401Q.do?CATE_CD=10 (회원가입 및 로그인 필요)영화 이외에도 실시간TV 방송다시보기에도 무료 영상과 유료영상이 있습니다.현재 진행중인 2012 프로야구 경기도 실시간으로 무료 시청가능합니다.. 모바일 태블릿PC 및 스마트TV는 티빙앱 설치..
아프리카에서 2009년 프로야구 실시간 방송을 부담없이 하게된 모양이네요.. 저작권법에 가장 저촉될 소지가 많은 서비스인지라 양성화 시킨것으로 EPL 박지성 선수를 비롯한 프리미어리그의 경기를 계약맺은 것 이후로 대표적인 스포츠 방송으로는 두번째로 보입니다.. 공중파나 케이블에서 EPL이 MBC ESPN 한채널을 주로 사용한다면 프로야구는 요즘은 대부분은 케이블 채널을 이용하긴 하지만 방송3사의 공중파에서도 하는지라 어떤식으로 체결되었는지 궁금하네요.. 공지사항: 프로야구 서비스 오픈 http://baseball.afreeca.com/ 아래는 해당구단에서 공식으로 운영하는 아프리카 채널이라고 합니다. 두산 베어스 : BEARSLIVE (http://afreeca.com/tamurayukari) LG 트윈..

6개월마다 동영상 서비스 리뷰를 하겠다고 말씀드린적이 있습니다. 작년 12월에 하고 6월에 예정이었는데 생각보다 늦어졌네요.. 여러가지 복합적인 이유가 있지만 작년보다 한층 관심에서 멀어진 아니 그런식의 느낌으로 다가온, 어느새 조금씩 생활속에 하나로 자리잡은 UCC(UGC) 동영상의 모습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초기의 기대보다 영향력이나 반향이 약화된듯한 느낌이 다가오지만 살며시 스며드는 모습으로 생각됩니다. 특정 서비스업체의 문제가 아닌 대략적인 분위기만을 일별한다면 UCC 동영상이 지녔던 일련의 가능성은 아직 해결되지 않은 저작권문제와 많은부분을 공식적인 방송에서 채워주지 못했던 선거나 기타 영역에서의 사회적 기능을 채워주리라는 기대에 많이 미치지 못했던 부분이 있습니다. 이부분은 어쩌면 일정부분 예..

올블로그 접속했다 못보던 탭이 보이더군요. 하나는 오늘 개설한 영화채널이고 또하나는 개설 예정인 정치채널이군요. 올블로그 하늘이님 블로그의 소개글을 기초하면 영화채널은 시작일뿐이고 기존의 블로그카페가 가진 한정성을 보완하고 이슈와는 커다란 관련이나 관심도는 떨어지지만 해당 분야의 관심있는 분들이 흥미를 가질만한 양질의 내용들을 소개하기 위한 방식이라고 보여집니다. 영화채널은 티켓링크를 통한 상영작 중심과 블로거들의 영화관련 쟝르 중심으로 검색 및 집중된 별도의 메타사이트로 생각하면 될듯합니다. 채널이 무한대로 늘어날것이라고 하니 응용폭도 넓고 해당 관심분야의 전문성이나 집중감도 높아지리라 예상됩니다. 다만 채널이 무한대로 늘어난다면 어디까지 한정을 둘지.. 자칫 기존의 대형 포털처럼 변할까.. 인터페이스..
유튜브에 관련된 보도자료들을 되돌아 보면 한국진출 시기는 다음달쯤 서비스를 시작할 것 같으며 진출 초기에는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영상보다 채널을 통한 제휴를 적극적으로 추진할것으로 생각됩니다. 진입 초기의 안정성과 사용자의 주목 두가지 모두를 단기간에 집중시키는 방법으로는 자본력이 있기에 취할수있는 방법중에 적격이라고 생각됩니다. 장점은 국제적으로 알릴수있는 발판이 될 수있지만 기술적인면만 따지고보면 현재 서비스되는 동영상의 비트레이트는 대부분의 국내 업체와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떨어지는 편이라 국내에 한정짓는다면 이부분을 개선할수 있겠지만 인터넷망이 다양한 국제적인 서비스는 안정성이 떨어질수도 있습니다.(사람의 시각은 이기적이어서 좋은 화질에 길들여지면 그이전으로 되돌아간듯한 느낌을 싫어하는 경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