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블로그 (36)
햇살과산책

티스토리에서 온 메일 확인후에 시키는데로 업로드한후에 몇가지 둘러봤습니다. 왠지 한번인가 만져봤던 네이버나 다음블로그의 스킨을 만지는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이부분은 포석일까..네이버나 다음에서 제공하는 블로그를 그리 많이 만져보지 못해서 느끼는 소감입니다.) html과 CSS등에 약한 사용자를 위한 것이라 들었습니다. 기본적으로 테터데스크 설정 하는것과 비슷한 인터페이스라고 생각됩니다. (일단 데이터를 백업하고 기존스킨의 코드들을 모두 백업후...) 스킨편집 모드에서 스킨위자드를 클릭하면 테터데스크 설정하듯 화면과 함께 설정화면이 나옵니다. 기본 스킨 편집 인터페이스 처음화면에는 배경꾸미기가 나옵니다. 옆에 보이는 업로드 메뉴는 사용자가 그림을 업로드하는 메뉴입니다. 상단 두번째 메뉴인 제목꾸미기입니..

초보 블로거에게 가장 정의내리기 어려운것이 트랙백입니다. 저는 초기에 트랙백을 어디에 쓰이는것인지 잘몰라서 아예 사용을 하지 않았습니다. 그후로 관심이 가는 내용은 댓글을 길게 달았는데 가독성이나 효용성이 떨어짐을 체감했습니다. 댓글에 관한 포스팅을하다 의견을 주신 도아님이나 기타 다른분들의 운영형태를 살펴보고 긴댓글은 오히려 하나의 글로 작성해 트랙백을 거는것이 유용하다는 것을 체득하게 되었습니다.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제일 좋았던 점은 개인이 자율적으로 결정권을 쥐고 있다는 점입니다. 자율이란 말은 자유와 규범이 어우러질때 조화로운 장면을 연출합니다. 블로그를 처음하시거나 트랙백에 대해 사용이 모호한 분들께 말씀드리면 자기의견을 다른사람의 의견에대해 찬성 혹은 반대 아니면 다른의견을 가질때 서로 소통하..

리퍼러를 살펴보다 누군가 제 포스트를 퍼갔는데 몇가지 문제가 있어 작성합니다. 블로그를 살펴보니 펌블로거라 하기에는 내용이 많지않은편이고 한가지 주제로 필요한 내용을 스크랩해서 개인적인 용도가 강한것으로 보입니다. 더불어 관련글의 링크들이 살아있고 제블로그에 적용된 CCL을 생각하면 이의를 제기할만큼의 의도적인 불펌으로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이런식의 사용자에게 퍼가지말라 이런말 하는것은 인정상 너무한 측면이 있기는 하지만 부득이하게 기술적인 몇가지 장치 때문에 삭제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어떤식으로 퍼갔는지 모르겠지만 테터의 플러그인으로 활성화시킨 콜백기능이 무력화 되어있습니다. (아마 콜백기능이 활성화되었다면 파란색 영역에 들어갔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레버의 위젯과 애드센스의 추천광고가 그대로 노출되..

SK커뮤니케이션과 다음 TV팟의 동영상을 엠파스에서 검색이 가능하도록 제휴를 맺었다고 합니다. 더불어 유튜브의 동영상도 검색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어제 개편한 네이버 비디오 서비스는 제 경험으로는 이전보다 조금 완화된 모습을 보였는데 웹사이트 주소를 명기한것은 이전의 네이버 플레이에서는 많은 제재를 했었는데 지금은 허용을 합니다 (개인 블로그주소는 허용하는데 상업적인 목적의 웹사이트 주소는 모르겠습니다.) 엠파스는 동영상 서비스를 직접하기보다 이용하는 쪽으로 방향설정을 한것으로 보입니다. 서비스가 시작되면 검색량은 현재 최고의 수준으로 알려져있습니다.(1억2천만개의 동영상) 현재 검색해보니 유튜브의 동영상을 추가한 아이콘이 보입니다. 관련 보도자료 : 세계일보 - 엠파스 국내 최대DB 동영상 검색 서비스..
ZDNET기사 - 소니, 동영상 공유 서비스 전략 수정 소니가 인수한 동영상 서비스업체인 그루퍼의 명칭을 크랙클이라 바꾸면서 일반 유저의 동영상보다 전문제작자와의 협업관계에 치중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유튜브의 독주가 진행되는 가운데 어찌보면 매우 현실적인 수정방향으로 생각되지만 이전에 있었던 변화의 조짐들이 조금씩 사그러드는것이 아닌가하는 아쉬움도 존재합니다. 결론적으로 인터넷이라는 매체로 이동만했지 소수의 교집합을 이루는 사용자를 제외하면 이전과 다른 상황이 아니라 생각됩니다. (이런 전망은 현재 시점에서 확대해석의 위험성을 많이 내포한것이라 조심스럽기는 하지만 하나의 징후로 여기고 글을 써보겠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국내의 일부 업체들도 아직은 경쟁중이라 속단하기 어렵지만 이런 방향성을 조심스레 예..
블로깅의 목적이 사적인 것으로 한정되는 사람들도 있지만 관련 분야의 이런저런 이야기를 자유롭게 할때도 많습니다. 물론 사적인 이야기속에 포함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웹이전 시대에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은 많은 한정된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아주 열받을 정도의 일이 발생하거나 정의감 충만한(?) 사람들이나 방문하거나 전화하는 수준에서 이루어 졌고 규모가 있는 기업에서는 간담회니 고객과의 대화니 하면서 모니터링 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습니다. 역시 시간이나 소통도구의 한정으로 가장 많이 접하는 것은 광고였습니다. 광고는 자본주의의 꽃이라 여겨지지만 상호작용하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는 한계가 있는 일방적인 전달의 방식으로 접하게 됩니다. 소비자가 가진 비장의 무기는 입소문입니다. 물론 이런 경우는 비슷한 경쟁 상품이..
댓글을 달다보면 해당본문을 잘못읽거나 시일이 지난후에 생각이 바뀔때도 있습니다. 시일이 지난후에 생각을 달리하게 된것은 Klevier님의 블로그에 달았던 것인데 해당포스트 - 무조건 고화질이면 좋은 동영상 서비스인가요? 2007년 5월 18일 달았던 댓글-2007년 5월 18일 저는 직업이 영상제작하는 사람이라 관심이 많은 분야입니다. 현재 대부분의 UCC동영상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비트레이트는 400k-1,1mbps입니다. 엠군같은 경우는 서비스하는 곳중에서 제일 비트레이트가 높은곳인데 이유는 다른곳과 차별성인듯 여겨집니다. 현재 과다하게 경쟁하는 시장에서 비용이 더들어감에도 이체제를 선택한것은 살아남기 위한 방편인듯 합니다. 웹에서 쓰이는 목적으로 기술적인 부분만 따져서 경제성과 범용성 나아가 화질까지..
공지에 적힌대로 블로그 계정을 이전한적이 있습니다. 다행히 테터툴즈에서 티스토리로 이전해서 데이터는 전부 살아났지만 국내외 메타블로그에 등록된 RSS 주소를 모두 수정했던 기억이납니다. 이 과정에서 사라진것들은 이전주소로 달았던 댓글들입니다. 티스토리의 댓글알리미에서는 이전 주소로 작성된 것들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블로그를 시작한지 얼마안되 많지는 않지만 몇개가 더 있는데 어디에 있는지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소중한 소통의 기억들을 잊어버리기전에 찾는 중입니다. 아래 댓글은 가끔씩 들르는 Goldenlog님의 블로그에 달았던 것입니다. 특이한 것은 이곳의 댓글은 블로그 주소가 바뀌어 해당 링크를 수정했더니 댓글을 쓴 날짜는 5월17일이고 Goldenlog님의 답글은 4월 27일로 나옵니다. 블로그 초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