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웹이야기 (198)
햇살과산책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2/3_11_7_7_blog66806_attach_0_47.gif?original)
해외의 비디오 업로드 가능한 사이트를 리뷰합니다. 네번째로 레버닷컴입니다. 이곳은 수익쉐어로 유명한 곳입니다. 일전에도 말씀드렸듯이 멘토스와 콜라를 이용한 동영상으로 유명한 곳입니다. 화질은 보통이지만 이곳은 전문제작자들의 참여가 많은 편이고 자체 모니터링을 한후에 업로드 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문화적인 차이와 언어로 인한 이해안가는 영상들이 있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 볼만한 영상들이 올라옵니다. 레버닷컴은 가입하기전에 페이팔 서비스에 등록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익배분은 revver - 40% 제작자 - 40% 공유자 - 20% 이며 수익은 광고로 발생한 것을 말합니다. 지급을 페이팔서비스로 하며 회원가입시에 기재하는 곳이 있습니다. 페이팔 가입과 사용방법 링크 출처- shop2world.com 동영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3/3_11_7_7_blog66806_attach_0_36.gif?original)
해외의 비디오 업로드 가능한 사이트를 리뷰합니다. 세번째로 마이크로소프트의 MSN SOAPBOX입니다. 이 사이트는 서명덕기자님의 블로그에 갔다가 알게되었습니다. 국내에서는 많이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화질은 보통이고 유튜브보다는 좋은편입니다. 플래시 기반입니다. 작년 9월부터 시작되었고 4월에 리뷰시에는 새로가입을 받지않는 중이어서 한동안 미뤄뒀다가 다시 접속해보니 열어뒀습니다. 이유를 알아보니 불법 업로드 차단책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합니다. 관련기사- ZDNET MS, 동영상 공유 사이트 Soapbox의 신규 등록 접수 일시정지 이곳 컨텐츠 영역에서 재생되는 화면은 4:3 비율로 TV와 유사한 형태로 보여주어 사방으로 블랙화면이 보입니다. TV에선 이영역이 보이지 않습니다. 앤유를 리뷰하면서 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2/3_11_7_7_blog66806_attach_0_45.gif?original)
어제 짤막하게 예측을 했었는데 네이버가 동영상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기 시작합니다. 관련기사 세계일보 - 네이버 "케이블TV 동영상 마음껏 편집하세요" 서울경제 - NHN, 동영상시장 본격 공략 블로그의 관련 포스트 - 국내 UCC 동영상 업체 리뷰후기 엠넷미디어는 CJ가 많은 지분을 가진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네이버의 본격적인 진출의 서막이네요. 현재 서비스중인 업체중에서는 자사의 영상물을 활용한 SBS넷티비와 비슷한 형태가 될것으로 보입니다. 차이점은 역시 넷티비는 자사의 것에 국한된다는 점이지만 엠넷미디어의 영상들은 Mnet, KM, XTM, 채널CGV, TVN, O’live Network등이 있습니다. 음악,스포츠,영화등등 관심있는분들은 폭넓은 선택을 할수 있겠습니다. 서비스는 무료이고 네이버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2/3_11_7_7_blog66806_attach_0_41.gif?original)
해외의 비디오 업로드 가능한 사이트를 리뷰합니다. 두번째로 UCC 동영상의 전세계적 반향을 불러일으킨 유튜브입니다. 화질은 보통이고 우리나라로치면 낮은편에 속합니다. 플래시 기반입니다. 잘아시는 것처럼 유튜브는 두명이서 우연하게 시작한것이 계기가 되어 엄청난 반향을 가져왔고 구글에서 인수한 상태입니다. 동영상 올리기 물론 올려야될 동영상이 준비되어 있어야 하겠지요. 유튜브 사이트에 접속(http://www.youtube.com/) 영어지만 직관적으로 알수 있습니다. 이메일 인증을 받습니다. 가입후에 로그인한후 상단의 Upload Video 메뉴를 클릭합니다. 저는 처음 올려보는 것인데 이메일 인증을 받으라는 창이 나옵니다. 외국 사이트에 올릴때는 아무래도 구글메일이나 핫메일 같은 외국계 메일을 쓰는것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3/3_11_7_7_blog66806_attach_0_30.gif?original)
해외의 비디오 업로드 가능한 사이트를 리뷰합니다. 첫번째로 구글의 비디오 사이트를 알아보겠습니다. 구글은 플래시 기반이고 화질은 보통입니다. 폭넓은 사용자를 가지고 있고 UCC동영상을 대중화시킨 유튜브도 구글에 인수되었습니다. 해외에 올릴때 걱정되는 것은 언어장벽과 더불어 실행속도가 느리지 않을까 하는 우려입니다. 우선은 안정성이 있는곳을 찾아서 리뷰할 생각입니다. 동영상 올리기 물론 올려야될 동영상이 준비되어 있어야 하겠지요. 구글비디오 사이트에 접속(http://video.google.com/) 계정이 없으면 구글 계정을 만든후에 접속합니다. 로그인후 하단 My Videos -> Upload your videos 를 클릭합니다. 다음화면에서 파일찾기 및 업로드 옵션을 설정후 클릭하면 업로드 및 인코딩..
국내 UCC동영상 서비스 업체의 간략한 변동 및 예측 아주 큰폭의 변화는 없지만 몇일전 엠군의 수익배분 발표는 다른 업체의 또다른 대응이 예상됩니다. 일단 예상되는 곳은 태그스토리,다음TV팟,판도라TV등을 들수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중요한점은 재미를 충족시켜주는 컨텐츠와 양질의 컨텐츠 확보가 관건입니다. 이점에서 생각해볼수 있는것들은 실제제작자나 프로에 가까운 제작력을 지닌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것인데 UCC 서비스용 영상제작을 방송국처럼 전문가에게 비용을 들여 의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수지타산이 맞지 않습니다. 수익배분의 형태를 취하면 제작방향이나 퀄리티에 준한 실제 수익성이 발생하면 전문가들을 현재보다 적극적으로 끌어들일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들은 이게 직업이기 때문에 개인적인 취미나 재미로 만드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2/3_11_7_7_blog66806_attach_0_36.gif?original)
저희 블로그에서 다루는 UCC업체의 변동사항은 주목할만한 변화가 있거나 6개월에 한번씩 주기적으로 리뷰할 예정입니다. 먼저 리뷰는 저도 처음 접하는 것이라 기술적인 부분을 많이 다루었는데 이번에는 실제적으로 업로드하는 것과 기타 정보들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열네번째로 리뷰할 업체는 판도라TV입니다. 사용자가 아주 많으며 상업성이 제일발달한 곳입니다. 자신이 획득한 큐피에 따라서 보상제도가 있습니다. 지난번보다 달라진점은 플레이어 스킨 및 화면크기 화질에 변화가 있었습니다. 블로그의 관련글 - UCC동영상 서비스 웹사이트 체험후의 이야기 3 블로그의 관련글 - 인터넷에 동영상올리기 - 판도라TV 동영상 올리기 물론 올려야될 동영상이 준비되어 있어야 하겠지요. 판도라TV 사이트에 접속(http://www...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3/3_11_7_7_blog66806_attach_0_26.gif?original)
저희 블로그에서 다루는 UCC업체의 변동사항은 주목할만한 변화가 있거나 6개월에 한번씩 주기적으로 리뷰할 예정입니다. 먼저 리뷰는 저도 처음 접하는 것이라 기술적인 부분을 많이 다루었는데 이번에는 실제적으로 업로드하는 것과 기타 정보들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열세번째로 리뷰할 업체는 태그스토리입니다. 태그스토리는 언론사에서 운영하는 곳이라 기사들이 많습니다. 모체가 되는 기업은 조선일보이고 얼마전에 소프트뱅크로부터 20억의 투자를 받았습니다. 태그스토리는 현재 20여개의 언론사와 제휴하여 동영상삽입기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 실질적인 최대주주는 소프트뱅크입니다.(위부분을 이렇게 정정합니다) 6월7일 아래 댓글처럼 조선일보 관련 정보가 잘못되었다는 말씀이 있어 이부분의 정보는 잠시 유예하겠습니다. 제가..